ott란 ? ott 서비스 국내 플랫폼 over the top 뜻
ott란 ? ott 서비스 국내 플랫폼 over the top 뜻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요즘 핫한 ott 서비스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려고 합니다.
ott란 무엇인지 ott 국내 플랫폼 뿐만 아니라 해외 플랫폼까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ott는 기존 통신과 방송사가 아닌 새로운 사업자가 인터넷으로 드라마나 영화같은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정해진 방송 전용망으로 콘텐츠를 전송하던 기존의 방송 서비스와는 다르게 ott는 불특정 다수의 접근이 용이한 범용 인터넷으로 콘텐츠를 전송하기에 이용 시간이 자유롭고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다양한 기기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볼 수 있습니다. ott 서비스는 기존 방송의 일회으로 제공되는 방식에서 벗어나 소비자가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때문에 소비자 중심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국내외 플랫폼을 알아보기 전에 먼저 ott 뜻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over the top 용어에서 top은 TV 셋톱 박스를 뜻합니다. ott 서비스는 초기에 셋톱 박스를 통해 케이블이나 위성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걸 뜻했었는데요. 하지만 광대역 인터넷과 이동통신의 발달로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해지면서 컴퓨터나 스마트폰 같은 다양한 기기로 ott 서비스가 확장되었답니다. 잘 알고 계실 대표적인 서비스로 소개해드리면, 요즘 핫한 미국의 넷플릭스 그리고 훌루가 있는데요. 국내 지상파 방송사의 푹 등이 있습니다.
현재 전 세계 OTT 서비스 시장은 미국이 주도하고 있는데, 넷플릭스 뿐만 아니라 아마존, 유튜브도 대표적인 ott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 ott서비스가 급성장하게 된 계기는 가격에 있었습니다.
웬만하면 유료 방송 요금이 100달러를 넘기는 미국에서는 크롬캐스트가 출시되었을 당시 케이블방송을 끊고 다들 ott 서비스로 갈아탈 만큼 유료 방송 가입자가 760만명 감소했습니다.
그와 반면에 넷플릭스 가입자는 1390만명 증가했습니다.
현재 유료 방송이 전 세계적으로 일대 위기감을 느끼는 이유라고 할 수 있습니다.
ott란 ? ott 서비스 국내 플랫폼 over the top 뜻
반면에 국내 ott 서비스 시장은 어떨까요? 한국은 유료 방송 요금이 저렴한 편에 속해 미국과 같은 현상은 일어나지 않겠지만 최근 다양한 ott 제품이 출시되면서 콘텐츠 종류와 분량이 늘어나 젊은 층을 대상으로 이러한 현상이 조금씩 보이고 있는 추세입니다.
단순 볼거리 동영상을 제공할 줄 알았던 ott가 양질의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며 몸집을 키우고 있으며 기존 유료 방송이 가졌던 한계를 넘어서 국경을 넘어 진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광고주들이 선호하는 20세부터 49세의 연령대 시청층이 고정적으로 tv시청시간이 줄어들었지만 스마트폰을 이용한 ott서비스 이용 시간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OTT는 방송법이 아닌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라 부가통신사업자로 분류되기 때문에 시장 진입, 방송 내용, 광고 등에서 허가 없이 신고만 하면 됩니다.
반면에 방송법이 적용되는 방송사업자는 허가를 받아야 하고, 공공성, 공정성 등을 규제받고 있는데요.
이러한 이유 때문에 ott가 실시간 방송이나 주문형비디 등 유료방송과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다른 규제를 받아 형평성 논란이 있습니다.
여러가지 이유로 ott 플랫폼 창업을 계획하시는 분들도 많은데, ott서비스의 특성을 잘 알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