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이란? IOT 사물인터넷 정의 전망 미래 장점
사물인터넷이란? IOT 사물인터넷 정의 전망 미래 장점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사물인터넷이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할텐데요,
4차 산업혁명으로 새로운 기술들이 많이 생겨나면서 새로운 용어들 또한 다양해졌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IOT 정의를 알아보면서 전망 미래 장점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함께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물인터넷이란? 정의 알아보기
사물인터넷(IOT)은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해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입니다.
즉, 무선 통신을 통해 각종 사물을 연결하는 기술을 의미하는데요.
인터넷으로 연결된 사물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아서 스스로 분석하고 학습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이를 원격 조정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라고 할 수 있지요.
여기서 사물이란 가전제품, 모바일 장비,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이 되는데요.
사물인터넷에 연결되는 사물들은 자신을 구별할 수 있는 유일한 아이피를 가지고 인터넷으로 연결되어야합니다.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데이터 취득을 위해 센서를 내장할 수 있죠.
모든 사물이 해킹의 대상이 될 수 있기때문에 사물인터넷의 발달과 보안의 발달은 함께 갈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IOT 사물인터넷 장점
사물인터넷의 핵심은 ‘어떻게 제어하는가’일텐데요.
현재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쓰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기기들을 주로 통제한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TV, 스마트워치, IPTV(인터넷 TV)용 셋톱박스 등을 이용해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어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TV와 셋톱박스는 대화면으로 관리하기가 쉽다는 장점이 있어요,
스마트워치는 항상 손목에 차고 다니기 때문에 사용자와 가장 가깝다는 장점 때문이지요.
현재 사물인터넷 시장에 가장 큰 위협이 바로 보안 문제라고 합니다.
기존에는 PC, 스마트폰 정도만 해킹의 대상이 됐지만, 이제는 모든 제품이 각각 해킹의 공격대상이 되기 때문인데요.
이미 해외에서는 수차례 사물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해킹 공격이 있었고, 보안업체들은 이를 막기 위해 새로운 솔루션을 개발 중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사물인터넷의 구동 과정은 3단계로 나뉩니다.
먼저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빠르게 전송하고, 이를 가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에 사물인터넷을 위한 핵심 기술로는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전송하는 네트워크, 이를 분석하는 빅데이터 기술을 꼽습니다.
한국은 와이파이(무선랜), LTE(4세대 이동통신) 등 네트워크 기술은 세계 일류입니다.
하지만 전·후 단계인 센서나 빅데이터 분석 기술은 아직 세계 수준과 비교했을 때는 뒤떨어진다고 하네요.
계속해서 사물인터넷의 전망 및 미래를 알아보도록 할게요.
IOT 사물인터넷 전망 미래
정보 기술 연구 및 자문회사에 따르면 2009년까지 사물인터넷 기술을 사용하는 사물의 개수는 9억여개였지만 2020년까지 이 수가 260억 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하네요.
이와 같이 많은 사물이 연결되면 인터넷을 통해 방대한 데이터가 모이게 되는데요,
이렇게 모인 데이터는 기존 기술로 분석하기 힘들 정도로 방대해진답니다.
이것을 빅 데이터라고 부르지요.
따라서 빅 데이터를 분석하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사물인터넷의 등장에 따라 함께 대두되고 있습니다.
시스코 시스템즈의 조사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22년까지 10년간 사물인터넷이 14조 4천억 달러의 경제적 가치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하니, 그 가치가 엄청나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렇게 사물인터넷이란 무엇인지 알아보았습니다.